#청남대(기와)
#삼. 특집 1편(104주년)
주문 투어
대통령기념비별관 – 석탑 – 숲속쉼터메타 – 음악분수 – 대통령기념관(게스트하우스) – 봉황타워 – 대통령별장 본관 – 민주화의 길 – 낙우성 가로수길 –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 – 그림자의 집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rLYt/btr0ANNFSa7/tdItz9qC8Xjvpj1Szye451/img.jpg)
1983년 대통령 별장으로 완공된 영춘재는 1986년 따뜻한 남측 청와대라는 뜻의 청남대로 이름을 바꾸었다.
2013년 노무현 대통령이 충청북도로 옮겨 일반에 공개했다.
매년 4~5월에는 영춘제 봄꽃축제, 9월에는 국화축제가 열린다.
2022년 현재 총 1300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간 것으로 확인됐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e5G4/btr0DVYJ2OX/TFad6OWCCLARq75KP1Es2k/img.jpg)
주차 후 가장 먼저 만나는 건물은 대통령기념관 별관과 하늘정원이다. 역대 대통령의 유서와 업적, 재임 기간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3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TStV/btr0IGM1CX2/XfLX3oQ6jR3nontEilsyP0/img.jpg)
개관식에서 공개된 석탑은 청남대에서 충청북도로의 이전을 기념하고 감사를 표하기 위해 당시 문문면 인구와 맞먹는 5,800개의 돌로 쌓은 것이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4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dG7M/btr0IvksP0D/CakcqFvVHvHk1tuyNGNw80/img.jpg)
봉황은 모든 새를 다스리는 전설의 새로서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되며, 본관 앞 헬기장에는 봉황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5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fJn7/btr0HtAGb6g/kH0J9XDR8HmsoNGTStxo21/img.jpg)
산불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한 휘닉스타워는 높이 22m의 봉황이 날아다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청남대의 명소가 되었습니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6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wtc/btr0AOeNPvY/IHUGYXkNTufYxOah6GvH8K/img.jpg)
음악분수대에서 본 메타세쿼이아 숲의 쉼터.
아직 겨울이라 휑하다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7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ParH/btr0GKWVt6O/BgDKk4kcZgdH8ShYOf1EnK/img.jpg)
대통령기념관은 기존 청와대 면적의 60% 규모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8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Snco/btr0IG7kK5z/XKSZiN1AmAkTwMA2DcN4sk/img.jpg)
1층은 대통령 시절 화제가 된 기록화를 전시하고, 지하는 체험실로, 2층은 세마나실로 가끔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전시한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9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SFQf/btr0yhB2ME3/u2U4jKWR7HFhrZKjeBuwP0/img.jpg)
대통령으로 가는 길 사이에서 민주주의로 가는 길에서
깃털 같은 잎은 가을에 황갈색으로 변하고 쓰러진 낙엽수는 길가에 심어져 있습니다.
낙우송은 Metasequoia, Calendula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종이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10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GoyLT/btr0yO0DzA1/d8svudo75mbHsNxrUmgxtk/img.jpg)
청남대의 마지막 준공 건물인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옛 골프장 터에 지어진 건물이다.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1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LkCl4/btr0IvY31ve/ZNNtsJ5V9J8Tadbf7KkcJ1/img.jpg)
왠지 서울의 열린 청와대에 가지 않는다. 청와대는 첨예한 남북 갈등 상황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위기 상황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많은 고민 끝에 설계되고 마련되었습니다.
지금은 누구나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옛 청와대인데 꼭 그래야만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.
일본이 대한제국의 국위를 떨어뜨리기 위해 창경궁을 일반에 개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.
사람들의 불편과 안전, 보안이 약한 곳에서 사람들과의 소통이 더 잘된다는 그럴듯한 이유로 용산을 선택한 이유가 과연 설명될 수 있을까?
![[ 청주 가볼만한곳 ] 따뜻한 남쪽의 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p7Uv/btr0yiubSq7/pZyzNmcVT9iKxl8QC9W2a0/img.jpg)
사람에게는 인격이 있고 나라에는 국호가 있다.
이미 모든 것이 노출된 청와대를 다시 쓸 수 있을까.
저절로 한숨만 날아간다.